독점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. 그중 <허생전>에서 나오는 독점은 매점매석. 매점매석이란, 독점의 일종으로, 이윤을 목적으로 물자를 대량으로 사들였다가 그 물자가 부족하여 가격이 올랐을 때 매각하여 폭리를 취하는 일이다. <허생전>에서 허생이 장사를 한다며 과일을 사재기 하고 후에 비싸게 팔아넘긴 행동이 바로 매점매석이다. 그러나 <허생전>을 읽어 보면 그 누구도 허생의 행동에 대해 비윤리적이라고 지적하는 사람이 나오지 않는다. 때마침 당시 조선시대에서는 매점매석이 전혀 문제될 이유가 없었다. 매점매석과 관련된 법적제도는 전무했고 소금, , 금과 같은 국가에서 관리하는 물건이 아닌 이상 시장은 자율시장체제를 유지했기 때문이다. 그러나 관련 법규가 있든 없던 매점매석은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것이다. 수요는 있으나 공급이 중단된 상태라면, 물건의 값은 자연히 상승할 것이고, 당연히 소비자들은 값이 상승하여도 필요한 물건이라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구입을 해야 할 것이다.


     소설에 나오는 당시 사람들은 허생의 행위를 비윤리적이라고 보지 않았던 것일까? 물론 허생은 사재기로 벌어들인 돈을, 돈을 더 벌기위해서 추가적인 독점이나 자신의 욕심을 위해서 사용 한 것이 아니라, 직접 여기저기 다니며 가난한 사람들을 구제하는데 사용 하였다. 또 많은 인원의 도적을 이끌고 무인도로 들어가, 그들을 교화 하고 하여금 새로운 삶을 살 수 있게 해 줌으로써 백성들이 도적에 대한 걱정을 덜게 하였고, 도적들도 도둑질을 하지 않고 살 수 있게 되었다. 그 시대의 국가보다 더 훌륭한 일을 했다고 볼 수도 있는 것이다.


     그런데 이러한 행위들로 허생의 매점매석에 대한 잘못을 덮어 줄 수 있을까?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민중들의 의식면에서 보면 허생의 행위는 틀린행위는 아니다. 그러나 현대적 시각으로 볼 경우 허생의 행위는 법을 어겼을 뿐만 아니라 시장경제 윤리에도 어긋난다. 만약 허생이 현대사회에 존재하고 있었다면 허생은 법률 제 2798호 물가안정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,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. 윤리에 앞서 법에도 걸리고 마는 것이다. 결국 허생은, <홍길동전>에서 홍길동은 의적이지만 실질적으로 도둑질이라는 범죄를 행한 것처럼, 그저 독점을 한 장사꾼으로 볼수 있다.


     한편으로 허생은 윤리적으로도 문제가 있다. 허생이 과일을 매점함으로써 사람들은 과일이 필요할 때 과일을 구하지 못하였다.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하였기에 조상에 대한 예의, 제사와 차례를 중요시 한다. 그러나 과일이 없어진 이상 제사나 차례를 지낼 수 없었을 것이다.


     제사뿐만 아니라 물가 안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. 허생이 과일들을 시장에 유통시키지 않자, 자연히 과일에 대한 물가는 상승하였고, 후에 허생이 과일을 다시 판매할 때 상승한 과일 값 때문에 가난한 사람은 과일을 먹지 못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였을 것이다. 물론 허생이 자신만의 이익을 위해 그런 일을 한 것은 아니라지만, 그 과정에서부터 이미 피해자가 발생하다는 것은 좋지 못한 것 같다.


     독점은 현대사회에도 존재한다. 국내 전기는 한국전력이 독점 공급하고 있다는 것이 그 예시이다. 그밖에도 여러 기업이 시장에 독점을 하고 있으나 큰 문제는 되고 있지 않다. 그러나 만약 기업이 이윤만을 추구하여 지나치게 가격을 올린다거나 할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. 특히 그 물건이 하루라도 쓰지 않으면 안되는 생필품일 경우는 문제는 더 심각하다. 이런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오늘날에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 잘 되어있기도 하다.


     모든 일에는 윤리가 있듯 경제행위에도 윤리가 있다. 경제윤리란 경제 활동을 할 때 최소한의 도덕과 상식선을 지키고자 제시되는 가치 규범이다. 이러한 윤리를 지킬 때 비로소 건강한 경제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





    Posted by 티엘에이